카테고리 없음
📊 2025 교사 호봉표: 월급과 수당의 현실적인 변화 분석 🚸
일백러
2025. 1. 11. 18:19
반응형
2025년 교사 호봉표가 공개되며, 많은 교사들이 자신의 급여와 수당 변화를 궁금해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3%의 공무원 임금 인상률이 적용되었으며, 이는 지난 몇 년간 물가 상승률을 고려한 가장 큰 폭의 인상 중 하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교사 호봉표의 주요 내용과 현실적인 예시, 그리고 수당 체계 변화를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1️⃣ 2025 교사 호봉표: 주요 내용
기본급 인상
- 9호봉 신규 교사: 2024년 224만 7,400원에서 236만 5,500원으로 약 11만 8,100원 인상(약 5.25% 상승).
- 20호봉 중견 교사: 2024년 336만 3,300원에서 347만 8,900원으로 약 10만 1,300원 인상.
- 40호봉 최고 경력 교사: 2024년 599만 5,800원으로 약 17만 4,600원 상승.
명절 상여금
- 명절 상여금은 본봉의 **60%**로 책정됩니다.
- 예:
- 9호봉 교사: 설날과 추석 각각 약 141만 원, 연간 총 약 282만 원.
- 20호봉 교사: 설날과 추석 각각 약 208만 원, 연간 총 약 416만 원.
정근수당 및 성과급
- 정근수당은 매년 1월과 7월에 지급되며, 기본급의 일정 비율로 책정됩니다.
- 성과급은 S/A/B 등급에 따라 차등 지급:
- S등급: 약 500만 원 초반.
- A등급: 약 400만 원 초반.
- B등급: 약 300만 원 중반.
2️⃣ 현실적인 예시
예시 1: 신규 교사의 월급 변화
- 신규 교사(9호봉)는 기본급이 전년 대비 약 11만 원 상승했습니다.
예를 들어:- 기본급: 236만 원.
- 담임수당(13만 원) + 교직수당(7만 원) = 총 월급 약 256만 원.
예시 2: 중견 교사의 연간 수당 합산
- 중견 교사(20호봉)는 명절 상여금과 정근수당을 포함해 연간 추가 수당이 크게 증가합니다.
예를 들어:- 명절 상여금: 설날(208만 원) + 추석(208만 원) = 총 약 416만 원.
- 정근수당(1월/7월): 각 약 168만 원, 총 약 336만 원.
- 성과급(A등급 기준): 약 400만 원.
→ 연간 추가 수당 합계: 약 1,152만 원.
예시 3: 최고 경력자의 실질 소득
- 최고 경력자(40호봉)는 기본급이 월 약 600만 원에 달하며, 각종 수당을 포함하면 실질 소득은 더 높아집니다.
예를 들어:- 기본급: 월 약 600만 원.
- 명절 상여금(연간): 총 약 720만 원.
- 정근수당(연간): 총 약 480만 원.
→ 연간 총 소득(기본급 + 수당): 약 8,880만 원.
3️⃣ 호봉별 급여 표 (2025)
호봉기본급 (월)명절 상여금 (60%)정근수당 (연간)
9 | 2,365,500원 | 약 141만 원 | 약 168만 원 |
20 | 3,478,900원 | 약 208만 원 | 약 336만 원 |
30 | 4,663,600원 | 약 280만 원 | 약 450만 원 |
40 | 5,995,800원 | 약 360만 원 | 약 480만 원 |
4️⃣ 수당 체계 변화
명절 상여금
- 본봉의 비율로 계산되므로 기본급 인상에 따라 자동 상승합니다.
교직수당
- 모든 교사가 받는 고정 수당으로 월 평균 약 7~13만 원 지급.
담임수당
- 담임을 맡은 경우 추가로 월 평균 약 13~15만 원 지급.
성과급
- 매년 한 번 지급되며 등급(S/A/B)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
- S등급: 평균 약 500~550만 원.
- A등급: 평균 약 400~450만 원.
- B등급: 평균 약 300~350만 원.
결론 🎯
2025년 교사 호봉표는 기본급과 수당 체계에서 전반적으로 개선된 모습을 보여줍니다. 특히 저연차와 중견 교사의 처우 개선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교육계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하지만 여전히 물가 상승률 대비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는 만큼 추가적인 개선이 필요합니다. 교직 생활을 준비하거나 현재 재직 중인 분들은 자신의 호봉과 급여 변화를 꼼꼼히 확인해보세요! 😊
반응형